legacy/항해99 일지

legacy/항해99 일지

20221123 (수) TIL

1. 혼자공부하는 자바 클래스 부분 공부하기 혼자공부하는자바 chapter6 클래스의 6-1을 공부하고 블로그에 정리해놨다. 6-1 부분은 클래스에 대한 소개가 목적인 부분으로 나는 정리가 안됐던 명칭에 대해 정리했다. 특히 객체와 변수의 차이가 대체 뭘까 라는 고민이 있었는데 그 부분에 대한 고민이 해소되었으며 생성자, 메소드간의 경계 자체도 시간이 지나서 기억이 희미했는데 되살아 났다. 항해에서 언어스터디 진행을 위해 팀을 짜줘서 6주간 일주일에 5일정도 30분씩 진행을 해야하는데 팀원들과 같이 공부한 내용을 얘기하고 의견을 나누니 좀 더 잘 정리되는 느낌이 있어서 앞으로 6주간의 언어스터디는 나한테 굉장히 도움이 되는 소중한 시간 일 것같다. 팀원들도 모두들 각자 소중한 시간을 쪼개서 언어스터디를 ..

legacy/항해99 일지

20221122 (화) TIL

1. 혼자공부하는 자바 클래스 부분 공부하기 오늘 클래스 부분을 다시 봤고 희미해졌던 기억이 다시 점점 살아났다. 근데 확실히 난 알고 있다 라고 말하기보다는 어렴풋이 어떤 느낌인지 알거같다 라는 느낌?? 알고리즘 문제에 신경을 많이 쓰다보니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부분에 소홀했는데 이제 알고리즘 문제의 비중은 이번주차가 끝나면 오전에 하루에 하나정도로 줄이고 시간을 쪼개서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 좀 집중을 해야하고 인프런의 스프링부트강의도 좀 봐야겠다. 이제 다음주부터는 많이 바빠질테니까 미리 어느정도 대비할 필요성이 있어보인다. 알고리즘 주차에서 자신감이 좀 떨어졌는데 다음 주차에서는 다시 자신감을 찾았으면 좋겠다. 2.알고리즘 문제 계속 풀 것 이제 달리기반의 마라톤문제는 거의 끝을 보인다. 어려운 문제..

legacy/항해99 일지

20221121 (월) TIL

1. 코드리뷰 알고리즘 주차가 진행중이기에 팀원들과 같이 코드리뷰를 진행했다. 코드리뷰를 하면서 느낀 것은 1. 내 코딩 습관이 안좋다는 것을 알았다. 2. 사람들은 굉장히 창의적인 생각을 많이 하고 내가 못하는걸 잘하는 사람도 많다. 3. 나 혼자 풀지 못하던 문제도 다같이 보면 실마리가 보인다. 집단지성 4. 그리고 다들 잘할거라고는 생각했지만 너무 잘한다. 내가 지금까지 가독성을 해치는 코딩을 많이하고 있었다. 특히 내가 변수를 좀 많이 선언하는 편이었는데 나는 그것이 가독성을 좋게 만드는 것이라고 생각만 했는데 알고보니 가독성을 해치는 것이었고 생각해보면 그 변수를 이해하기위해 시간을 쓰고 그 변수가 들어간 반복문 혹은 if문을 이해하기위해 또 시간을 쓰기에 매우 비효율적인 코딩 습관이다. 없애자..

legacy/항해99 일지

20221120 (일) 2주차 정리 WIL

월 화 수 목 금 토 일 시간 19h 04m 18h 23m 17h 39m 17h 19m 17h 00m 13h 03m 휴식 계획 O O O O O O 휴식 이번주 공부시간 : 102시간 29분 O : 하루 계획 완료 했음 ㅁ : 하루 계획 다 완료하지 못했음 X : 하루 계획 하지 않았음 1. 이번주 공부시간 이번주는 아무래도 미니프로젝트 주차가 끼어있기도 했기때문에 많은 몰두를 했던거 같다. 매주 100시간의 공부시간은 꼭 채우자 라고 자신과 약속했었는데 지켜서 뿌듯하다. 이번주차의 프로젝트는 한정된 시간을 어떻게 쪼개서프로젝트를 완성시키느냐가 관건이였는데 아주 성공적으로 프로젝트를 마무리 할 수 있어서 더할 나위없이 뿌듯한 한주였다. 좋은 팀원들과 좋은 프로젝트를 할 수 있어서 너무 영광이었다. 덕분에..

legacy/항해99 일지

20221119 (토) TIL

총 마라톤과제 24문제 중에서 16번 문제를 진행중이다. 지금까지 3문제정도가 정말 지독하게 풀리질 않고 있는데 더 풀리질 않는다면 다른 팀원들이나 항해분들은 어떻게 했는지 한번 여쭤볼 계획이다. 3문제중에 한 문제가 웃기게도 1번문제였는데 아마도 평소의 나였으면 1번문제부터 막혀서 참 답답해하면서 진도가 쭉쭉 나가질 않았을것 같다. 팀원분께서 한 문제 한 문제 풀어나가는 것보다 5문제정도까지 지문을 읽은 후 어떻게 코드를 짜야겠다 라고 로직을 떠올려 미리 적어 놓고 그 다음 다시 1번 문제부터 풀리면 좋을거라고 했는데 그대로 하니 정말 효과가 좋았다. 앞으로의 코테는 이런식으로 진행하는 것이 좋겠다. 1번문제는 달력 문제 였는데 달력 관련된 문제가 나오면 항상 약했던것같다. 결국에 해결하긴 했는데 특정..

legacy/항해99 일지

20221118 (금) TIL

프로그래밍 알고리즘 주차가 시작됐다. 처음에 알고리즘이라길래 dfs 트리 등의 자료구조 개념이 나올줄알고 아 정말 또 힘들겠다 생각했는데 java 문법적인 부분에 대한 내용만 나와서 한편으로는 다행이라고 생각했다. 자료구조의 그 많은 개념들을 일주일만에 다룰수 있을까 라는 걱정도 있었고 만약에 그런다면 따라가는 것조차도 굉장히 벅차겠구나 싶어서 걱정이 많이 됐는데 문법적인 부분에 대해서 자세히 다루는 느낌이였다. 일단 걷기반 / 달리기반이 있는데 달리기반을 선택했다. 소수의 분들만 달리기반을 선택했는데 다들 열심히 하는 분들이었고 어느정도 java에 대해 자신감이 있으신 분들이 대부분 이었기에 긴장도 되면서 또 다른 동기부여도 받았다. 어제 너무 늦게 잠을 자서 너무 피곤했는데 이러한 분들 사이에 있었기..

legacy/항해99 일지

[JAVA] 항해99 문법

알고리즘 세션에 들어가기전 java 과제가 있었다. mission 1 var1과 var2는 자료형을 int형으로 선언을 했기 때문에 var1/var2의 진짜 결과는 2.5일지 몰라도 int형으로 변환되어서 2로 변하게 되고 2로 변한 값이 double var3으로 들어가게 된다. 즉 아무리 var3이 double형으로 선언이 되었더라도 이미 정수형데이터가 들어오기때문에 2.0이 찍히고 4가 출력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엔 아래와 같이 형변환을 해줘야한다. mission 2 증감연산자는 특이하게 연산순서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이뤄진다. (보통 대부분의 연산자들은 왼쪽에서 오른쪽이다) 그러므로 x의 경우는 해당 열을 수행하기전 이미 +가 되었으므로 11이 될것이고 y의 경우는 해당 열을 수행하고 난 이후에 -..

legacy/항해99 일지

20221117 (목) 1주차 프로젝트 트러블 슈팅

1. 즐겨찾기 카운트 버튼 css 처리 상황 : hover시에만 버튼이 보이는 부트스트랩 템플릿을 사용했는데 즐겨찾기 카운트 버튼을 계속 보이게끔 그위에 넣으려고 했는데 css 처리가 굉장히 어려웠다. 원인 / 해결 : hover됐을때가 안됐을때 모두 즐겨찾기 카운팅 횟수가 보여야 하는데 css 처리가 쉽지 않았다. 나는 단순히 부트스트랩 css가 복잡하구나 라고만 생각했는데 프로젝트 회고시간에 얘기를 들어보니 그게 부트스트랩의 단점이라고 했다. css의 수정이 너무 힘들다고 불가능에 가깝다고.. 그래서 나도 html에서 인라인태그를 걸어서 처리를 했다. 이것도 많은 시행착오가 있었는데 이건 정말 왜 이렇게해서 됐을까라고 결론을 내리기 정말 어려웠다. 2. 서버단에서 즐겨찾기 예외처리 여기가 진짜 할말이..

3hoon
'legacy/항해99 일지' 카테고리의 글 목록 (6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