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ython

web/python & JavaScript

jinja template

지금까지 웹페이지 구현은 python과 html + css + javascript로만 진행하면서 웹페이지 간의 데이터 이동은 ajax콜만을 사용해 전달했는데 프로젝트 진행간에 정말 많은 문제가 겹쳤겠지만 어쨌든 ajax콜을 사용하지 못하게 됨에 따라 다른 방법을 생각하던 도중 jinja에 대해 알게 되었고 기록하고자 한다. jinja template란? 동적 웹페이지를 구현할 때 ajax콜 방식이 아닌서버에서 바로 웹페이지의 로딩과 변수 값을 html이나 js에 할당하고 싶을때 사용 할 수 있는 python의 템플릿 엔진 중 하나 이다. jinja template 사용법 서버단에서 데이터를 처리해 render_template과 함께 원하는 주소로 랜더링을 해준 뒤 html혹은 js에서 위 사진과 같은 형..

web/python & JavaScript

python flask session(세션)

사전 스터디 미니프로젝트 도중 로그인부분을 구현하기 위해 session이라는 기능을 사용하기로 했다. Session이란 app.secret_key = "{임의의 키 값}" 한글로 된 설명이 별로 없어서 영문으로 된 내용을 한글로 번역해 가져왔다. 여기서 말하는 session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서버에 따로 저장(flask 서버를 사용했다) 되고 flask에서 암호화되어서 관리된다. 그렇게 될 경우 위 사진처럼 session안에 로그인정보가 들어있는지 없는지에 따라 로그인 페이지와 로그아웃된 페이지를 나누는 것이 가능해진다. session은 flask 서버에 정보를 저장해두고 필요할때 요청하여 사용하는 기술이다. session 사용 1. session import 및 session 비밀 키 입력 from ..

web/python & JavaScript

python Flask + mongoDB

Flask 프레임워크란 서버를 구동시키기위한 python 프레임워크로 간편하게 서버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레임워크이다. mongoDB는 NoSQL의 한 종류로 딕셔너리 형태로 데이터를 저장한다. 데이터 마다 고유의 id를 가지지않고 빠른 장점이 있지만 그만큼 데이터의 일관성이 부족 할 수 있다. Flask 기본 소스코드 from flask import Flask, render_template app = Flask(__name__) ## URL 별로 함수명이 같거나, ## route('/') 등의 주소가 같으면 안됩니다. @app.route('/') def home(): return render_template('index.html') if __name__ == '__main__': app.ru..

web/python & JavaScript

python) 크롤링(crawling) 스크래핑(scraping)

크롤링과 스크래핑은 웹페이지에서 정보를 긁어온다 이런정도로만 기억을 하고 있었는데 이 둘의 차이가 그럼 무엇인가? 라는 생각이 들었다. 크롤링(crawling)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70824#home

web/python & JavaScript

python requests parsing

앞에선 서울시 미세먼지 api값을 ajax를 통해 가져왔는데 파이썬의 requests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면 더 간결하게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다. json api parsing import requests URL = 'http://spartacodingclub.shop/sparta_api/seoulair' response = requests.get(URL) status = response.status_code text = response.json() print(text) print(status) url링크 : http://spartacodingclub.shop/sparta_api/seoulair requests get 방식으로 url의 데이터를 받아왔고 json()을 통해 python에서 사용할 수 있는..

3hoon
'Python' 태그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