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주차 주특기 숙련 주차 발제 이번 주차의 내용은 이전 주차의 내용에서 회원가입/로그인과 jwt 토큰을 활용한 게시글 댓글 처리 부분이였다. 이번 주차에는 정말 빠르게 과제를 진행해보자라고 생각했었기에 하루안에 강의를 다 듣고 그 다음날 바로 과제를 시작했었다. 과제의 내용 자체는 사전스터디때 회원가입에 대한 부분은 다뤄봤기에 어떻게 구현해야겠다 이러한 생각이 머리속에 들어왔었고 jwt토큰 자체도 사전스터디때 python으로 구현하셨던 분도 계셨었기때문에 충분히 지금 단계에서 스프링으로 구현하는것 자체는 너무 어려워서 못할정도는 아니겠다라는 생각이 가득차있었다. 근데 항해 강의를 들으니 코드스니펫을 통해서 아예 코드 자체가 완성됐고 그 코드를 수정해서 사용하면 됐다. 코드뭉치가 있었다는 것도 있었지만 과..
3주차 주특기 입문 주차 발제 이제 앞으로 스프링을 주로 쓰게 될텐데 그 시작이 될 주차였다. 나는 예전에 스프링에 대해서 다뤄본적이 있었는데 그때 너무 어려워서 포기한적이 있다. 자바는 스프링이야 라는 말을 어디서 듣고와서는 만져본 기억이 있는데 그때 나는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 대해서도 모를때였고 자바 문법이 재밌네 하고 있던 시기라서 자신감 넘치게 봤다가 호되게 당하고 좌절을 했던 기억이 있다. 사실 그래서 이번에 스프링을 다시 켜서 봤을때 좀 거북하기도 했다. 그때의 기준에서는 마냥 너무 어렵고 복잡한것이라고 생각이 들어서 그 기억이 그대로 남아있다보니 좀 거북해서 인텔리제이의 스킨도 이것저것 바꿔보면서 다른 느낌이 들게끔하려고 했는데 그냥 바꿔도 똑같은 스프링이였고 그래서 그냥 원래대로 돌려놨다...
2주차 프로그래밍 기초 주차 발제 항해수료까지의 과정중에 가장 어떤 과정일지 느낌이 오지않는 주차였다. 이유는 내가 생각한 알고리즘 문제는 DFS나 BFS 혹은 아래사진의 빨간색 박스안의 내용이였다. 근데 과연 2주차 Pre-Onbording기간까지 합치면 3주인데 과연 3주차만에 저러한 개념들을 이해할 수 있을까? 라는 의문이 계속 들었다. 그래서 이 2주차 과정이 문법을 다지는 기간인지 아니면 정말 알고리즘 개념을 익히는 기간인지 느낌이 오지 않았다. 실상을 파보니 문법과 내가 이해하는 알고리즘의 그 사이의 경계 어느곳이였다. 사실 굉장히 겁먹기도 했었다. 난 사전에 저런 개념에 대해 먼저 접해본적이 있었는데 그때 정말 이해가 안됐다. 정말 수학공식처럼 달달 외워야하는걸까? 라는 고민을 많이 했던거..
1. 즐겨찾기 카운트 버튼 css 처리 상황 : hover시에만 버튼이 보이는 부트스트랩 템플릿을 사용했는데 즐겨찾기 카운트 버튼을 계속 보이게끔 그위에 넣으려고 했는데 css 처리가 굉장히 어려웠다. 원인 / 해결 : hover됐을때가 안됐을때 모두 즐겨찾기 카운팅 횟수가 보여야 하는데 css 처리가 쉽지 않았다. 나는 단순히 부트스트랩 css가 복잡하구나 라고만 생각했는데 프로젝트 회고시간에 얘기를 들어보니 그게 부트스트랩의 단점이라고 했다. css의 수정이 너무 힘들다고 불가능에 가깝다고.. 그래서 나도 html에서 인라인태그를 걸어서 처리를 했다. 이것도 많은 시행착오가 있었는데 이건 정말 왜 이렇게해서 됐을까라고 결론을 내리기 정말 어려웠다. 2. 서버단에서 즐겨찾기 예외처리 여기가 진짜 할말이..
1주차 프로젝트 구현영상 프로젝트 소개 커피 덕후(coffee Duckhu) 커피 덕후는 커피에 진심인 사람들이 모여 카페별로 인기 메뉴를 살펴보고 나만의 커피 컬렉션을 만들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커피 덕후 보러가기👇 http://coffeeduckhu.shop/ 커피덕후 | 커피에 진심 coffeeduckhu.shop 주요 기능 프랜차이즈 카페의 메뉴를 크롤링하여 리스트업 카페별 커피 정렬 기능 커피 즐겨찾기 기능 즐겨찾기 개수로 순위를 매겨 인기 커피 정렬 기능 즐겨찾기한 커피를 볼 수 있는 마이페이지 커피에 대한 설명과 영양정보를 보여주는 상세 조회 페이지 좋아하는 커피에 댓글 기능 JWT를 이용한 회원 로그인 기능 기술 스택 Frontend : HTML5, CSS3, Bootstrap4.0, ..
D + 2 3챕터 학습 내용 공부 및 알게 된 점 기록 혼자 공부하는 자바의 3챕터 연산자 부분을 공부했다. 증감연산자 ++ -- 지금까지 변수 혹은 정수의 뒤에만 넣는 것으로 알고 있었는데 앞에도 가능하다는 것을 알았다. ++피연산자 = 다른 연산을 수행하기 전에 피연산자 값을 1 증가 피연산자++ = 다른 연산을 수행한 후에 피연산자 값을 1 증가 대부분의 연산자는 오른쪽에서 왼쪽의 순서로 연산을 수행 증감연산자와 대입연산자는 왼쪽에서 오른쪽의 순서로 수행 삼항 연산자 (조건식) ? 반환값 1 : 반환값2 int sum = 85; (sum > 90) ? "A" : "B" 조건식의 결과가 true이면 반환값1을 반환 / false이면 반환값2를 반환 정답은 "B" 연산자의 우선 순위 논리연산자 연산자의..
D + 1 혼자 공부하는 자바의 2챕터의 내용은 변수와 타입부분이었다 변수 이름은 숫자로 시작할 수 없다 변수 이름에는 camel case를 사용한다 char 타입은 음수 값을 가질 수 없다 Long 타입은 숫자 뒤에 L을 넣어주는데 소문자도 가능하다 (float도 가능) String은 기본 타입이 아니고 class 타입이다 char과는 다르다 float와 double을 나누어서 쓰는 이유 (double이 정밀도가 2배 더 높지만 그만큼 메모리도 더 많이 사용한다) System.out할때 out은 표준출력장치를 의미하고 그 표준출력 장치는 모니터 System.in은 표준입력장치 (key in을 통해 각 key별 값이 존재) Public static void main 의 중괄호 {}는 메소드 블록이라고 부..
1. 전날 자기전 혹은 오전에 다음날의 공부할 것들을 미리 정리하고 그것을 수행하기로 하자 2. 그날 공부하고 느낀 것들은 간단히 메모장에 그때그때 기록하고 느꼈던 점을 적는 느낌으로 간단히 기록하자 ex) 변수를 선언할때는 camel case를 쓰기로 암묵적으로 합의했다. 3. 검은별표는 매일 꼭 지키고 하얀별표는 1번을 기준으로 하자 ★항해기간동안 지키기 1일 1 코테 및 회고 (최소 8시 30분정도에 시작해 최대 30분정도 풀기) 1일 1 커밋 ( 프로젝트기간 이전에는 코테에 대한 내용을 주로 커밋) 1일 1 기능 및 기술에 대해 구글링 후 숙지 1일 1 블로그 (숙지한 기능 및 새로운 기술 위주로) ☆Pre-Onboarding 동안 지키기 일일 계획표 실천 및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공부 LIFO 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