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래스명이나 함수명에 대한 부분은 파스칼 표기법을 주로 사용하는데
변수에 대한 부분은 아직 스스로가 정리가 되질 않아 알아보았다.
카멜 표기법 (camel case)
- 소문자로 시작하고 이어지는 단어는 대문자로 작성하는 표기법
- 낙타의 혹과 비슷하다하여 붙여진 표기법
- Java의 변수명을 선언할때 주로 사용
- ex) userName, memberList 등
스네이크 표기법 (snake case)
- 단어 사이에 underbar를 사용하여 작성하는 표기법
- python, C++, C등의 변수명을 선언할때 주로 사용
- user_name, member_list 등
java에서 스네이크 표기법을 사용하는 이유는 대부분 python이나 C에서
사용하던 습관을 그대로 적용한 것으로 java 진영에서는 99% 카멜 표기법을
사용한다.
그리고 사실 underbar를 넣는 것이 더 번거롭다.
파스칼 표기법 (pascal case)
- 모든 단어의 앞자를 대문자로 작성하는 표기법
- java에서는 클래스명, 함수명 표기할 때 주로 사용
- ex) UserName, MemberList 등
클래스명이나 함수명을 표기할때는 대부분 파스칼 표기법을 채택하여 사용한다.
이외의 표기법
케밥 표기법 (kebab case)
- 단어 사이에 underbar가 아닌 하이픈을 쓰는 표기법
- 스네이크 케이스와 굉장히 유사하다
- ex) user-name, member-list 등
하지만 많은 언어가 하이픈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이 상당히 제한되어 잘 쓰지 않는다.
헝가리안 표기법 (Hungarian case)
- 변수명 앞에 자료형을 붙이는 표기법
- c언어 에서 주로 사용하던 표기법이다
- ex) strName, iMath 등
하지만 변수명의 자료형이 바뀐다면 싹다 고쳐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web > JAVA & SpringBoot'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정규 표현식 (0) | 2022.11.23 |
---|---|
[JAVA] map이란 (0) | 2022.11.19 |
[JAVA] Math.ramdom()의 이해 (0) | 2022.11.10 |
[JAVA] static 이란? (0) | 2022.11.10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의 의미 (0) | 2022.11.08 |